본문 바로가기

자료모음44

중세 시대의 하층민 대부분의 판타지 소설의 배경은 중세시대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소설의 배경에 생동감을 불어넣어주는 조연들, 그중에서도 하층민 계층에 대한 간단한 설명입니다. 1. 거지(bagger)중세에는 정신이나 육체적 장애가 있을시에만 거지라고 인정되었다. 거리에서 구걸 또는 빈민구호소, 병원에서 얻어먹기도 했는데 만약 가짜인 경우(육체적, 정신적 장애가 없을시) 종교관련으로 중한 벌을 받았다. 2. 나무꾼(woodcutter) 3. 농부(peasant)농노와 자영농의 통칭. 자영농은 안전을 위해 스스로 영주의 농노가 되거나 하인 또는 행상이 되었는데, 지금 관점으로는 이해가 가질 않지만 현실적으로 생계가 어려웠던 당시 농부들에게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생계가 어려울 때는 아내와 자식을 팔거나 버리기도 하였다. 대.. 2024. 11. 22.
중세 시대 성생활에 대한 놀라운 사실들 중세 시대 성생활에 대한 놀라운 사실들  오늘은 중세 시대의 성생활이 어땠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볼 텐데요, 굉장히 흥미로운 주제니까 끝까지 읽어주세요.먼저, 성관계가 지금과는 다르게 여겨지긴 하지만, 중세 시대 사람들도 현재와 비슷한 성적인 고민들을 많이 겪었습니다. 예를 들어, 임신을 피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했고, 성적 수행이나 경험 부족에 대한 걱정도 있었으며, 자신의 친밀한 삶이 죄가 되지는 않을까 하는 두려움도 있었죠. 이러한 문제들은 지리적 위치나 시대를 막론하고 오래도록 지속된 문제들입니다.당시에는 정상위가 가장 일반적이었어요. 가톨릭 교회에서는 성교를 정상위로만 해야 한다고 규정했는데, 다른 체위는 성별 역할을 혼란스럽게 하거나 쾌락에만 집중한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만약 표준 체위를 벗어난 .. 2024. 6. 15.
소림사(少林寺) 소림사(少林寺)  구대문파의 태산북두인 불교 문파. 중국 선종, 특히 임제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1. 소림사의 내력 - 위치 소림사는 하남성 등봉현에 있는 숭산의 소실봉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원래 '소림사'라는 이름 자체가 '소실봉의 북쪽 숲 속에 있다'라는 뜻에서 유래된 것이다.창건 - 흔히 소림사는 달마대사가 창건했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것은 잘못된 것이고,사실은 약 천 오백년 전에 북위의 효문제 때(495년) 인도에서 온 발타선사가 창건한 것이다.전설에 따르면 발타선사는 여섯 명의 친구와 함께 출가했는데 친구들은 모두 성불을 하고 발타만 부처가 되지 못하였다.그래도 낙망하지 않고 구도의 길을 떠난 발타는 마지막으로 중국에 이르러 효문제를 만나게 되고, 효문제의 명으로 소림사를 세웠다.그는.. 2024. 6. 12.
중세 기사의 삶 중세 전장에서 가장 두려운 전사들이었던 기사들은 매우 잘 훈련되었고, 갑옷을 입고 신뢰할 수 있는 말을 타고 있어 어떤 보병보다 빨랐습니다. 기사들은 중세 사회 계층의 정상에 있었으며 수많은 로맨스와 동화의 주제였습니다. 그러나 기사는 어디에서 왔으며 젊은이는 기사가 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했을까요? 처음으로 기사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은 8세기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 왕에 의해 고용된 기마 전사들이었습니다. 이 전사들은 샤를마뉴의 정복에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그들의 봉사에 대한 보상으로 큰 땅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숙련된 전사들이 왕이나 귀족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대가로 땅과 나중에는 칭호를 받는 시스템은 유럽 중세의 지배적인 정치 체제인 봉건제의 기원이었습니다. 봉건제가 확립되면서 기사가 되는 것은 유.. 2023. 12. 17.
화산파(華山派) 화산파(華山派) 위치 : 섬서성 화음현 화산의 서쪽에 있는 연화봉 정상. 명승 : 도교사대동천 - 태극동, 서현동, 노군동, 왕자동. 상궁 - 화산파의 근원지. 연화봉 정상에 위치. 옥녀지 - 상궁 앞에 위치. 하늘의 옥녀가 달 밝은 밤이면 강림하여 머리를 감았다 한다. 고장 - 전설에 의하면 천시인 거령이 자신의 초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황하 가운데를 가로막고 있 던 화산을 손발로 뒤흔들어 두동강이를 내버렸다. 화산이 갈라지며 그 사이로 황하가 흐르게 되 었고 화산에는 그 흔적이 남게 되었다. 이것을 고장이라 한다. 도림새 - 전설에 의하면 주의 무왕이 천하를 평정할 때 동원하였던 여덟 필의 명마를 유명한 어 자(말몰이꾼)인 조부가 잡아 주목왕에게 바쳤다고 한다. 주목왕은 이 명마들을 화산의 북쪽에 있 .. 2023. 12. 11.
백제의 군사조직 및 방어체제와 무기 백제의 병력이 얼마였는지를 알려주는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또, 군인을 어떤 식으로 충원하였고, 군대를 어떤 모습으로 편재하였는지에 대한 자료도 없다. 다만,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초기에 왕이 직접 병사 5천명을 이끌고 전투를 벌인 기사라든지 날쌘 기병 200명을 보내 침입한 외적을 격퇴하였다는 기사가 있어, 병력의 대체적인 규모, 기병의 존재 등을 어설프게나마 짐작할 수 있다. 고구려의 예를 감안하면, 백제도 역시 수군(水軍)을 따로 두었을 것이다. 그리고, 백성 가운데 15세 이상인 자들을 징발하여 노역케 하였다는 몇몇 기사를 통해 군역의 대상자가 15세 이상의 남자였음을 알 수 있는데, 군역 복무 기간은 대략 3년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삼국사기}를 조금 더 살펴보면, 4세기 .. 2023. 9. 12.